모듈 설치방
모듈을 설치하는 가장 전통적인 방법은 FTP를 이용해 업로드한 후, 모듈 관리 페이지에서 활성하를 하는 것이다. 하지만 사이트가 있는 서버에 접근권한이 있고 서버에서 드러쉬(drush)를 사용할 수 있다면 드러쉬를 이용해서 모듈 다운로드와 활성화를 더욱 쉽게 할 수 있다.
드루팔 8부터는 컴포저(composer)를 이용해서 모듈의 버전관리와 설치를 할 수 있게 됐다.
모듈 찾기
드루팔 모듈들은 구글링을 하면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각 모듈의 주소는 "https://www.drupal.org/project/모듈기계명" 로 되어 있어, 검색결과가 모듈 페이지인지 아닌지는 쉽게 알 수 있다.
찾고자 하는 모듈명이 무엇인지 정확히 알고 있다면 모듈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찾아볼 수 있다.
각각의 모듈들은 .tar.gz 와 .zip 형태로 다운 받을 수 있고, 현재 드루팔 코어의 정 버전과 바로 하위 버전 두개만 제공한다. 그 외 버전은 각 모듈 페이지의 하단에 있는 "View all releases"을 클릭하면 다운 받을 수 있다.
FTP를 이용한 설치
모듈을 다운받아 FTP로 업로드한 후 모듈 관리 페이지에서 설치(활성화)한다.
Ftp를 이용해서 설치할 때는 설치할 모듈이 다른 모듈에 의존하는 경우, 의존하는 모듈도 모두 다운받아서 업로드 해야 한다.
설치순서
- 모듈을 다운받아 압축을 푼다.
- 압축을 푼 모듈을 사이트의 루트 디렉토리에 있는 modules 또는 modules/contrib 에 업로드 한다.
- 사이트 관리자로 로그인한 후 모듈 관리 페이지(admin/modules)에서 모듈을 선택한 후, 페이지 하단에 있는 설치하기 버튼을 클릭한다.
- 주의) 다른 모듈에 의존하는 모듈인 경우, 의존하는 모듈을 먼저 설치한 후에 설치해야 한다.
Drush를 이용한 설치
서버에 드러쉬가 설치되어 있지 않거나 드러쉬에 대해 모르거나, 더 자세한 내용은 드러쉬 문서를 참조한다. 여기서는 드러쉬를 이용한 모듈설치의 기본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드러쉬는 설치할 모듈이 다른 모듈에 의존성이 있는 경우, 의존하는 모든 모듈도 자동으로 다운로드 하고 설치해준다.
설치하고자 하는 모듈이 Metatag 일 경우, 모듈 페이지는 https://www.drupal.org/project/metatag 이고, 모듈의 기계명은 주소의 마지막에 있는 "metatag"이다.
설치 순서
- 서버에 접속하여, 드루팔 사이트의 루트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 모듈을 다운받는다.
drush dl metatag
- 모듈을 설치한다.
drush en metatag
참고) 드러쉬는 모듈을 먼저 다운받지 않고 설치만 해도 자동으로 다운로드 하기 때문에 2번 과정은 생략해도 된다.
Composer를 이용한 설치
서버에 컴포저가 설치되어 있지 않거나 컴포저에 대해 모르거나, 더 자세한 내용은 컴포저 문서를 참조한다. 여기서는 컴포저를 이용한 모듈설치의 기본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컴포저도 드러쉬처럼 설치할 모듈이 의존성이 있는 경우, 의존하는 모든 모듈도 자동으로 다운로드 해준다. 단 컴포저는 모듈을 다운로드만 해줄 뿐 설치는 해주지 않는다.
설치하고자 하는 모듈이 Token 일 경우, 모듈 페이지는 https://www.drupal.org/project/token 이고, 모듈의 기계명은 주소의 마지막에 있는 "token"이다.
설치순서
서버에 접속하여, 드루팔 사이트의 루트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반드시 composer.json 파일이 있는 사이트 루트 디렉토리여야 한다. 서브 디렉토리에서는 실행이 안된다.
모듈을 다운받는다.
composer require drupal/token
위 명령어를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모양의 require 구문을 composer.json 에 자동으로 추가한다.
{ "require": { "drupal/token": "1.x-dev" } }
모듈을 설치한다.
컴포저는 모듈을 자동으로 다운로드 받기만 할 뿐 설치는 해주지 않기때문에, 드러쉬를 이용해 아래와 같이 설치(활성화)해준다.drush en token